저항·커패시터·인덕터 한번에 계산하는 직렬·병렬 공식 가이드


전자 부품 컬러코드와 RLC 계산을 한 번에 해결하는 방법

전자 회로를 설계하거나 수리할 때, 저항·커패시터·인덕터의
값을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컬러코드 판독, 직렬·병렬 연결 공식, RLC 계산기를
활용하면 시간과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실무와 학습 모두에 도움이 되는 계산 원리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항 직렬 연결 계산 원리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각 저항값이 그대로 합산됩니다.
이는 전류가 하나의 경로로만 흐르기 때문에 전체 저항이
커지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100Ω과 200Ω을 직렬로
연결하면 300Ω이 됩니다.


저항 병렬 연결 계산 원리

병렬 연결에서는 각 저항의 역수를 합한 뒤 역수를 취해야
전체 저항값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100Ω과 200Ω 병렬은
1/(1/100 + 1/200) = 약 66.67Ω이 됩니다.



컬러코드로 저항값 읽기

저항 표면의 색 띠는 숫자와 승수를 나타냅니다.
예시 표를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색상 숫자 승수(Ω)
검정 0 ×1
빨강 2 ×100
- ×0.1

커패시터 직렬·병렬 계산

커패시터는 저항과 반대로 병렬 연결 시 용량이 합산되고,
직렬 연결 시 역수를 합산 후 역수를 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μF와 20μF 병렬은 30μF, 직렬은 약 6.67μF입니다.


인덕터 직렬·병렬 계산

인덕터는 저항과 동일하게 직렬 시 합산, 병렬 시 역수 합산
공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자기장의 결합 원리와 전류 흐름
경로에 따른 특성 때문입니다.


RLC 회로 계산기의 장점

RLC 계산기를 사용하면 복잡한 공식 대입 과정을 건너뛰고
수치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직렬·병렬·혼합 연결 값을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과 회로 제작 전 검증에
매우 유용합니다.


실무에서의 활용 팁

회로 설계 단계에서 컬러코드와 계산기를 병행하면 부품
선택과 오류 검증 속도가 빨라집니다. 특히 고주파나
정밀 회로에서는 계산 오차가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계산기를 통한 이중 확인이 중요합니다.


저항·커패시터·인덕터 공식 요약표

부품 직렬 연결 공식 병렬 연결 공식
저항 R=R1+R2+... 1/R=1/R1+1/R2+...
커패시터 1/C=1/C1+1/C2+... C=C1+C2+...
인덕터 L=L1+L2+... 1/L=1/L1+1/L2+...


댓글 쓰기

0 댓글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